관찰과 결과는 현상의 본질을 정의한다.

요즘 몇몇 SF 영화를 보다 보니 종종 생각나는 한 가지 의문점이 존재한다.


고도로 복잡한 AI를 창조해서 인간의 뇌 활동을 거의 그대로 모사하게 한다면, 그 개체는 인간과 동일한 자아 및 감정을 실제로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가?


예컨대 AI가 사랑 같은 감정을 거의 그대로 모사한다면, 실제로 AI가 사랑을 느끼고 이를 바탕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.


근데 이건 사실 다른 모든 것도 다 마찬가지며, 인간의 행동 또한 예외가 아니다.


인간들 중에서도 감정을 못 느끼는 일부 인간들이 있으며, 우리는 이를 사이코패스 라고 부른다.


이러한 사이코패스들이 다른 사람들의 감정표현을 유심히 관찰한 후 거의 그대로 따라한다고 가정해 보자.


우리가 겉으로 보기에 이들 사이코패스와 "진짜" 감정을 느끼는 다른 인간들을 구분할 수 있는가?


일반적으로 사이코패스는 대부분의 경우에 감정이 있는 것처럼 자신의 본성을 숨기고 다니다가, 결정적인 순간에 가면을 벗어던지고 본모습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다. 이는 흉악범들처럼 범죄일 수도 있고, 그보다 더 가벼운 일일 수도 있지만, 아무튼간에 이들은 어떠한 조건(주로 자기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상황이 주어졌을 때 등)만 갖춰지면 언제든지 본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.


그런데 만약, 이들이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고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감정을 그대로 모사하며 살아간다고 가정해 보자. 과연 이런 경우에도 우리는 이들 사이코패스들을 구별할 수 있을까?


이러한 경우에는 일단 현실적으로, 애초에 구별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. 왜냐 하면, 이들이 비록 사이코패스라 하더라도, 결과적으로 다른 일반인들과 전혀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.


즉 우리는 이러한 사람을 현실적으로 사이코패스가 아닌 "일반인"으로 "간주" 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하더라도 완전히 무방하다.


다만, 이는 우리가 어떠한 객체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눈 같은 게 없고, 우리의 관찰 기술이 부족했기 때문에 일어나는 일이었다. 우리는 우리에게 관찰되는 것들만 관찰할 수 있으며, 그 이면은 마치 지구에서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듯 확인할 수 없는 상태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.


자, 그런데 여기서 우리들의 과학이 발전하면서, 놀랍게도 우리들의 관찰 영역 또한 넓어지게 되었다. 마치 지구 표면과 달의 뒷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곳에 중계 위성을 쏘아 올려서 달의 뒷면 영상을 (거의)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된 것처럼, MRI와 같은 뇌 검사기법이 발달하면서 어떠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관장하는 그 중심기관의 작용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.


뇌를 실시간으로 검사해 본다면, 감정을 그저 따라하기만 하는 사람과, 실제로 뇌의 활동에 의해 감정을 스스로 느끼는 사람 간에는 뇌 활동의 차이가 존재하므로, 그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정체를 알 수 있을 것이다.


그런데 만약, 정말 만약에, 이 둘의 뇌 활동이 완전히 똑같다면 어떨까? 즉 사이코패스로 여겨지던 사람이 일반인의 감정을 따라할 때의 뇌 활성부위와, 일반인이 감정을 느낄때의 두 가지가 완전히 동일하다면?


그렇다면 답은 매우 간단하다. 그 사람은 사실 사이코패스가 아닌 것이다. 그건 더 이상 감정의 "모사" 따위가 아니라, 그냥 감정 그 자체인 것이다.


이는 AI도 마찬가지이다.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양태 뿐만 아니라, 내부적인 인공 두뇌의 작용기전도 인간의 뇌의 방식을 그대로 모사했다면? 그건 더 이상 인간 행동의 모사가 아니라 인간의 행동과 완전히 동일한 것이다. 


그리고 이는 당연하게도, AI에만 국한되는 일이 아니다. 세상의 모든 일이 다 마찬가지이다.


일부 인간들은 생각을 너무 많이 한 나머지, 우리 현상 너머에 있는 어떤 "본질"에 대해 집착하며, 어떠한 현상에 "그 너머"의 본질이 있는지 "해결하지 못할 의구심"을 갖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. 하지만, 그들이, 우리들이 말하는 이 "본질"이라는 건 대체 무엇인가? 우리의 세계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, 이 물질 너머의 본질이라는 것은 대체 어떤 종류의 것이며, 또 그것에 대체 어떤 의미가 있는가?


형이상학은 허상이다.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, 또는 관찰되지 않으며 관찰하는 것 자체가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어떠한 "관념"들의 실체는, 그저 인간들이 소위 사고놀음을 통해서 만들어낸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. 말하자면, "신"과 완전히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.


인간의 의지는 본질을 좇지만, 인간 밖의 이 세계는 인간이 만들어낸 관념 따위에 정의되지 않고 그저 그 자체로서 존재할 뿐이다. 마치, 인간이 본인들의 나약함을 잊기 위해 "신"이라는 존재를 만들어내고 아무리 그것에 의지하더라도, 그 인간 밖의 세상은 개인의 믿음 따위와 완전히 무관하게 그 자체로서 돌아가는 것과 같다.


따라서 우리는 더 이상 허깨비를 잡을 필요가 없다. 본질은 결코 물질 밖에 있지 않다. 우리가 물질 세계를 관찰한 것, 그 결과물이 바로 그 대상이 유일하게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 "본질"이다.

TAGS.

Comments